아때(unity)

맥에서 Unity 개발 시 쓰기 좋은 IDE, Rider 무료화!

때려쳐아니때려치지마 2025. 2. 3. 16:43

https://workdiarysometimesnot.tistory.com/88

 

유니티)맥 유니티 visual studio code 사용(성공)(자동완성됨)

참고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3GVGyooZ8jk 맥에서 vscode 세팅하는 최신영상을 참고하여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이번에 시도해볼것은 이전에 vscode세팅을 실패했기 때문에 (https://workdiarysometimesnot.t

workdiarysometimesnot.tistory.com

맥에서 vscode를 사용했던 게시글인데 글을 보면 알수있듯이 세팅할 때 불편한 점이 많았다.

window와 다르게 세팅 할 것이 많고 자동 완성이 제대로 안되는경우도 빈번했다.

Rider를 쓰면 이런 부분이 한번에 해결되는데 유료라는 점이 큰 단점이었다.

그러나 2024년 10월부터 무료버전이 제공된다!!

 

오늘은 무료로 rider를 설치하고 유니티에서 IDE로 사용하는 과정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Rider 설치하기

https://www.jetbrains.com/rider/buy/?section=personal&billing=yearly

 

Buy Rider: Pricing and Licensing, Discounts - JetBrains Toolbox Subscription

Buy Rider: Get JetBrains Toolbox subscription for an Organization, for Individual Use or view Special Offers.

www.jetbrains.com

위 링크에서 비 상업용 Free버전으로 다운을 받는다.

 

설치를 하고, 실행을 합니다.

 

Free Non-Commercial Use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본인 계정으로 로그인을 마치면 Setting값을 맞출수 있다.

나는 visual studio가 익숙하기 때문에 해당 값으로 세팅을 맞출것이다.

 

키맵같은걸 맞출수있다.

 

설치가 끝나면 이렇게 프로젝트를 열수있는 창이 나옵니다.


Unity에 Rider 연결하기

연결하려는 유니티 프로젝트를 켜서 Window > PackageManager를 클릭한다.

Packages: Unity Registry로 변경 후 JetBrains Rider Editor를 검색해서 설치한다.

다시 상단 바에서 Unity > Settings를 클릭한다

External Tools에서 External Script Editor를 Rider로 변경해준다.

이렇게 하고 스크립트를 열면 rider로 열리게된다.

 

맨 처음 솔루션을 열때는 프로젝트의 온전히 솔루션이 열리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바로 자동완성과 코드 컬러링이 변경이 안될경우에는 라이더의 하단에 바를 보면 progress가 돌고 있는걸 확인한다.

모든 작업이 종료되고 솔루션 path가 정상적으로 뜨게되면 자동완성이 잘 될것이다.

 

그럼 이제 행복한 맥북라이프~~